배소현 (사진=KLPGA)

2011년 KLPGA 입회해 데뷔한 배소현은 대기만성형 골퍼다. 데뷔 13년 만인 2024년에 ‘제12회 E1 채리티 오픈’에서 생애 첫 우승을 거둔다. 이후 ‘제13회 KG 레이디스 오픈’에서 곧바로 두 번째 우승을 한 그는 같은 해 ‘더 헤븐 마스터즈’에서도 우승컵을 들어올린다. 이를 통해 배소현은 지난해 KLPGA 대상에서 다승왕과 위너스클럽을 수상했다. 지난해 기준 드라이버 비거리 256야드로 투어 5위에 랭크되어 있다.

지난 시즌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장타 순위 5위에 빛나는 배소현 프로가 SBS 골프아카데미에 등장해 드라이버 장타 비결을 공개했다.

배소현은 2일 SBS골프아카데미 투어프로 특집에 출연해 비거리를 효율적으로 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다운스윙 내려올 때 지면을 밟고 회전하는 힘이 커서”라고 말했다.

배소현은 지난 시즌 평균 드라이버 비거리 252.31 야드(230.71미터)로 장타 순위 5위에 랭크된 바 있다.

(사진=SBS골프아카데미 방송캡처)

이날 방송에 자신의 코치인 이시우 프로와 함께 출연한 그는 “그 힘을 크게 만들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는 골반이 조금 더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회전을 한다는 느낌으로 한다”면서 시범 스윙을 보여주었다.

스튜디오에서 첫 티샷을 보여준 배소현은 볼스피드 70의 안정적인 드로우구질로 250미터 비거리를 선보였다.

함께 출연한 이시우는 “스윙할 때 무척 간결하다”고 감탄한 뒤“왼발을 잘 딛고 도는 느낌이 스무스하고 굉장히 빠르게 넘어가는 걸 볼 수 있다”면서 배소현 드라이버 스윙의 장점을 설명했다.

(사진=SBS골프아카데미 방송캡처)

시범 스윙 후 배소현은 “편하게 연습하는 드릴을 알려드리겠다”면서 “클럽을 몸 앞에 두고 오른쪽 골판이 조금 더 아래를 본 상태에서 팔이 몸 앞으로 들어오는 연습을 한다. 실제 연습장에서 연습할 때도 그 느낌을 찾으면서 연습 하는 편”이라며 자신의 연습 루틴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에 이시우는 “(배소현이) 실제 이 루틴을 필드에서 공을 칠 때도 많이 한다”면서 “시청자들도 배소현 프로와 같은 루틴을 만들어서 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이날 배소현은 대회 도중 페어웨이가 넓을 때와 좁을 때에 따라 스탠스를 달리한다면서 자신만의 꿀팁을 방출하기도 했다.

배소현은 “평상시에도 정확하게 치고 싶을 때는 오픈 스탠스를 스는 편”이라면서 “페어웨이가 넓을 때는 편하게 서서 손의 릴리즈까지 다 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반대로 페어웨이 좁을 때는 다운스윙 내려올 때 조금 더 손 릴리즈를 잡아주면서 친다”고 전했다.

이에 이시우는 “아마추어들이 스탠드를 좁히고 살살치면 똑바로 간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면서 “스탠스 폭은 똑같지만 오픈, 클로즈로 방향 잡아가야 하는 게 좋을 거 같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배소현을 보면)체중을 딛고 도는 데 있어서 진짜 잘 누르고 빠르게 돈다”면서 “다른 선수들 레슨을 해봐도 골반 누르는 연습 동작 할 때보면 연습 할 때와 막상 실전에서 모션 안 나오는 거 볼 수 있다. 하지만 배소현은 연습 때와 똑같이 축을 잘 잡고 도는 게 장타 원동력이다”라고 칭찬했다.

(사진=SBS골프아카데미 방송캡처)

이시우 코치의 칭찬에 배소현은 “나는 평소에 미스샷이 나올 때 보면 상체가 뒤로 눕는 실수가 나오는 편이다”라면서 “실제 레슨 받을 때도 코치님이 클럽 손잡이로 오른쪽 머리를 잡아줄 때가 있다. 다운스윙 때 절대 공보다 뒤에 있지 않는다는 느낌으로 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습 루틴에 대해 “사람마다 패턴은 달라서 나는 오른쪽으로 눕는 실수를 하지만 몸이 앞으로 나가는 사람은 왼쪽 머리에 누군가 클럽 손잡이를 대고 있다는 느낌으로 스윙하면 될 것 같아”고 조언했다.

이날 배소현은 대회 때 방향성이 안 좋다 하면 축을 고려하고, 비거리 모자하는 날에는 딛는 부분 생각한다면서 마인드 콘트롤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그는 “밸런스 유지하는데 중요시하는 부분은 백스윙 톱 포지션에서 팔을 끌고 내려와 한 번에 간다는 느낌으로 가는 것”이라며 “이때 템포가 끊어지지 않게 한 번에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